카테고리 없음

5월2일 임시공휴일/대체공휴일 지정 여부

글쟁이의 모험 2025. 4. 21. 11:00
728x90

2025년도에는 대체공휴일과 법정공휴일을 포함하여 총 18일의 휴일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현재 5월 2일 임시공휴일/대체공휴일 지정 관련으로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 5월 1일은 근로자의 날이기 때문에 쉬는 회사가 많죠. 어린이날과 부처님오신 날이 겹쳐 5월 6일이 현재 대체공휴일로 지정이 되었습니다. 만약 5월2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이 된다면 최장 6일 동안의 황금 연휴가 가능한 것이죠.

 

이 기간에 여행 계획을 세우신 분들도 많으실거라 예상이 되는데요, 하지만 아직까지 정부에서는 5월2일 임시공휴일 지정 여부에 대해 공식 결정을 내리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5월2일 임시공휴일 지정 가능성에 대해서 다양하게 갑론을박을 내리고 있습니다.

 

긍정적인 측면에서 보면 국내 소비나 여행 수요 증가를 통하여 경제 활성화를 기대하는 여론이 많고, 국민들의 휴식권 보장과 삶의 질 향상 등의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근로자들의 경우 5월 2일 하루 연차를 사용해서라도 6일동안의 휴식을 보내고 싶다는 의견들도 많습니다.

 

부정적인 측면으로는긴 연휴가 있을 경우 국내 여행보단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들이 더 많아질 수 있으며 이는 정부에서 임시공휴일 지정을 통하여 기대하는 국내에서의 소비 활성화 효과를 반감 시킬 수 있다는 의견입니다.

 

또한 6월 조기 대통령 선거일로 대선날짜가 6월3일로 확정이 되어서 대체공휴일 지정이 확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5월2일까지 임시공휴일로 지정한다면 2개월 사이 동안 임시공휴일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죠.

 

이는 기업의 생산성 저하나 경제활동 위축에 대한 부담감으로 작용이 될 수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긍정적, 부정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서 5월2일 임시공휴일 지정 여부를 신중하게 결정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5월2일 임시공휴일 지정은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령으로 결정이 되어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결정은 아직 미정인 상황인데요, 5월2일 임시공휴일/대체공휴일로 지정이 될 수 있을지는 조금 더 지켜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2025년 대체공휴일이 적용되는 날은 언제일까요?

2025년도에는 총 3번의 대체휴무가 있습니다.

3월3일(월) / 3.1절

5월6일(화) / 어린이날,부처님오신날

10월8일(수) / 추석

 

주 5일제를 실시하고 있는 기관일 경우 총 휴일 일수는 작년과 동일하게 119일입니다. 

 

주말을 포함해 3일 이상 쉴 수 있는 연휴는

총 6번입니다.

 

1월28일-30일(3일)

3월1일-3일(3일)

5월3일-6일(4일)

8월15일-17일(3일)

10월3일-9일(7일)

 

공휴일이 없는 달은 2월, 4월, 7월, 11월 입니다.

 

728x90